커버드콜 ETF는 주식이나 채권 등 기초자산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그 자산을 기초로 한 '콜옵션(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해서 옵션 프리미엄(옵션을 팔고 받는 돈)을 추가 수익으로 얻는 전략을 가집니다. 여러번 읽어봐도 이해가 바로 안되고 어렵기만 합니다. 쉽게 말해 주식을 보유하면서 그 주식을 기반으로 한 옵션을 파는 전략입니다. 주식을 갖고 있으면서 그 주식이 크게 오르지 않을 것 같을 때 누군가에게 '이 가격에 사라'는 권리를 팔고 그 대가로 돈을 받는 구조입니다.
커버드콜 ETF 작동 원리
1. 기초자산 보유
ETF가 주식이나 채권을 실제로 보유합니다.
2. 콜옵션 매도
보유한 자산을 대상으로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시장에 팝니다.
3. 프리미엄 수익
옵션을 판 대가로 프리미엄을 받아 이 돈이 투자자에게 분배금(배당금)으로 지급됩니다.
4. 수익 구조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으면 옵션 프리미엄을 분배금으로 꾸준히 받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많이 오르면 그 초과 이익은 옵션을 산 사람에게 넘어가서 수익이 제한됩니다.
커버드콜 ETF 장점
1. 높은 배당 수익
옵션 프리미엄 덕분에 일반 ETF보다 높은 월배당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시장 변동성 방어
주가가 횡보하거나 약간 하락해도 옵션 프리미엄으로 손실을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3. 꾸준한 현금흐름
월배당 등으로 정기적으로 현금이 들어와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4.분배금 비과세
올해 1월부터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가 변경되어 해외 주식형 etf 배당소득에 대해 투자국가가 원천징수 후 분배금을 받게 되어 절세혜택을 볼 수 없게 되었으나 커버드콜 etf의 옵션 프리미엄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으로 isa나 연금에서 절세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 ETF 단점과 유의점
1. 상승장에서의 수익 제한
보유한 주식이 크게 오를 때, 콜옵션을 미리 팔았기 때문에 초과 수익은 옵션 구매자에게 넘어가고, 투자자는 미리 약속한 가격까지만 이익을 얻습니다.
2. 하락장에서의 손실 가능
주가가 많이 떨어지면 옵션 프리미엄으로도 손실을 다 막을 수 없어 원금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3. 수익률 변동
분배금은 기초자산의 가격과 옵션 프리미엄에 따라 달라지므로 매달 고정적인 금액이 들어오는 것은 아닙니다.
4. 상품 구조의 복잡성
옵션, 배당, 기초자산 등 구조가 복잡하므로 세부적인 전략과 위험성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5. 비싼 운용보수
기초지수만 추종하는 etf에 비해 다소 비싼 비용이 필요한데 이는 콜옵션 매도 전략을 실행해야 하므로 운용에 더 많은 인력과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상장 커버드콜 ETF
국내에 상장된 커버드콜 etf 중 몇가지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ETF명 | 시가총액(억원) | 상장일 | 특징 |
KODEX 미국나스닥100 데일리커버드콜OTM |
2,397 | 24년 10월 22일 | OTM(외가격, Out The Money)콜옵션 전략: 시장참여 + 프리미엄까지 수취 가능. |
KODEX 200타겟 위클리커버드콜 |
3,645 | 24년 10월 22일 | 코스피200 지수 상승분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먼슬리 대비 높은 옵션 프리미엄 수익 추구. |
TIGER 미국30년국채 커버드콜액티브(H) |
1조2,462 | 24년 2월 27일 | 콜옵션 매도 비중을 30%로 제한해 장기채 상승에 상당부분 참여하는 효과. |
PLUS 고배당주위클리 고정커버드콜 |
91 | 25년 3월 5일 | 고배당주 지수를 매수하고 코스피 200 콜옵션을 30% 비중으로 고정하여 매도하는 전략. |
25년4월20일 기준
커버드콜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략은 모두 다릅니다. 지수 상승 1% 상승분까지는 보장해준다거나 콜옵션 매도 비중을 30%로 제한하는 전략, 추종하는 기초지수와 옵션이 다르기도 합니다.
마치며..
주식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이익을 일부 포기하는 대신 콜옵션을 팔고 받는 프리미엄을 추가 수익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할 때도 옵션 프리미엄을 받기 때문에 손실을 일부 방어할 수도 있지만 손실이 없지는 않을겁니다. 분배금은 기초자산 상승분의 일부를 포기하는 대가이고, 가치 상승 이외의 추가적인 수익을 누리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이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투자성 상품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ETF 투자 > ETF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 종류, 절약 방법 (1) | 2025.04.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