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해외주식형 ETF

KODEX 미국S&P500 ETF

예예보라 2025. 4. 3. 12:56
반응형

첫 글이네요. 티스토리에서는 주로 ETF 관련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저마다 맞는 투자방식이 있을텐데 저는 개별 주식보다는 ETF가 더 적합한거 같아요. 이외에 부동산에도 관심이 있지만 이는 아직 갈 길이 멀기에.. 현재 보유하고 있는 ETF를 점검해보는 차원에서 먼저 써보려고 합니다.

 

KODEX 미국S&P500 TR 사라진 이유

고심고심해서 고른  토탈리턴(TR) ETF이건만 지금은 사라졌습니다. 정확히는 25년 1월 24일 분배금을 자동 재투자하는 방식(TR)에서 분배금을 지급하는 방식(PR)으로 변경됐어요. TR ETF가 사라지게된 이유는 조세 형평성 문제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 변화때문입니다. TR ETF는 분배금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매도시점까지 배당소득세를 내지 않아 과세 이연 효과 및 복리 효과를 볼 수 있었는데요. 조세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판단 아래 해외주식형 TR ETF는 운용을 할 수 없게 됐어요. 다만 국내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내주식형 TR ETF는 예외로 인정한다고 합니다.

 

KODEX 미국S&P500

S&P500 INDEX는 미국에 상장된 전체 주식 중 시가총액 상위 500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로 연 4회 지수 정기변경을 합니다.

미국 대형 우량 기업들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ETF입니다.

 

상장폐지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분배금을 분기 배당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1,4,7,10월 말이며 25년 4월부터 분배예정입니다.

 

분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과세 이연 효과는 사라졌지만 보수를 대폭 낮추고 안정적인 배당 지급을 통해 투자자 이탈을 막으려 하고 있습니다. S&P500에는 계속 투자할 계획이라 다른 상품으로 갈아탈 계획은 아직 없지만 또 괜찮은게 나오진 않을지 눈여겨 봐야겠어요.

 

총 보수(연): 0.0062%

과세: 배당소득세(보유기간과세)

분배금 지급 기준일: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25년 4월부터 분배예정

 

기간별 수익률

출처: 삼성 KODEX ETF 홈페이지

 

1년 17.66%

3년 55.24%

상장 이후 87.72%

 

구성 종목

출처: 삼성 KODEX ETF 홈페이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페이스북), 알파벳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치며

증권사 앱에 접속해보니 어느 순간 이름이 바뀌었더라구요. 토탈리턴 방식은 자동 재투자이기에 분배금에 신경쓸 필요가 없었는데 이제는 분배금 받을 때마다 재매수 하던지 다른걸 사던지 해야겠죠. 개인연금 계좌에서도 매수가 가능하여 안정적인 장기투자에 적합할 것 같습니다.

 

**본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